독일 이야기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독일 니더작센 주, 한뮌덴 digital nomad(@dogilstory)님의 공유 게시물님, 2017 6월 15 오전 12:02 PDT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윗쪽 아이콘 클릭 후 소셜미디어별 구독/팔로잉과아래쪽 하트 버튼도 많이 클릭해 주세요.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아는 독일인과 최근에 식사하며 일상생활 등 잡담을 나누다 뜻하지 않게 폴크스바겐 문제와 정치 얘기까지 하게 되었는데요. 슈뢰더 전총리는 독일인에게 항상 바뀌어야만 살 수 있다며 매사에 세상을 들쑤시며 바꾸려고만 했고, 그에 반해 메르켈 현총리는 독일인에게 항상 우린 문제없고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고만 한다며 농을 치더군요. 독일인은 매사에 비판적 사고가 익숙한 터라 정치인들과 사회시스템에 대해 좋은 얘길 하는 사람을 만나기가 어려운 편이긴 하지만, 현재와 미래의 삶을 결정짓는 정치와 사회 주제에 대한 판단의 고삐를 놓지 않고 살아간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최근 인터넷과 TV등의 미디어는 전세계 리더들이 함께 자리한 유엔총회가 열리..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세상은 실로 정신없이 변화하고 있고 그 중심에 중국이 놓여 있지만,아직도 여전히 언제적 기억인지 알 수 없는 인식으로 중국을 바라보는 시선들이 국내에 많은 듯 싶어,중국 얘기가 나온 김에 중국 얘기 한번 더 해 볼까 합니다. 중국은 우주기술 분야에서 미국과 러시아를 넘보는 수준이고, (독일 이야기 이전 글: http://dogilstory.tistory.com/334) 지금까진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주범 중 하나였지만, 변화의 변곡점을 지나 전세계에서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가장 많이 하는 나라가 되었고, (독일 이야기 이전 글: http://dogilstory.tistory.com/183) 독일 인더스트리 4.0의 핵심 기업인 로봇 업..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한국과 독일에서 최저시급 수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생필품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요? 어젠 헤센 주 버스 파업 뉴스를 전하며 독일의 법정 최저시급에 대한 얘길 나누게 되었는데요. 혹시, 물가 비싼 독일에서 최저시급 많이 받아봐야 한국 최저시급보다 가치가 비슷하거나 못하다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런지요? 최저시급이 이슈가 될 때마다 해외 유학생이나 교포분들이 정보를 공유해 이젠 많은 분이 알고 계시긴 한데요. 최근 10년간 한국 물가가 너무 급속히 올라 최소한 생필품 기준으로는 독일과 오스트리아보다도 우리나라 물가가 더 비싼 수준입니다. 독일과 물가가 비슷하거나 조금 더 비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 최저시급과 한국의 최저시급 규모로 일반 수퍼에..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20*C+M+B+17 독일 집들 문 앞에서 어렵잖게 볼 수 있는 문구인데요.혹시 눈여겨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독일은 로마 카톨릭과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프로테스탄트가 30년간 죽도록 싸우고 화해한 곳이기도 하지만, 동방정교회의 전통도 엿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1월 6일은 교회력으로 로마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에선 예수의 공생애가 처음 시작된 주님 공현 대축일과 주현절로 기념하고 있지만,동방정교회에선 1월 6일과 1월 7일을 예수의 탄생을 기리는 크리스마스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특히, 1월 6일은 신약성경의 마태복음에 기록된 동방박사를 특별히 기리는 동방박사의 날로 기념하고 있는데요. 바이에른 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작센-안..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북한 산골마을에서도 한국 TV 방송을 본다고??? 풉!!! 세계 도처의 뉴스와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고,저마다의 분야에서 고수들이 넘쳐나는 '인생도처 유상수'인 시대에평범한 일반인의 눈으로 세상이야기를 전하다 보면 의기소침해질 때가 많은데요. 그냥 소박하게,남의 나라에서 살아가는 같은 처지의 유학생, 직장인, 교포분께 작은 도움이 되는 뉴스와 정보도 나눌 겸.일상에 바빠 먼나라 일까지 일일이 챙겨보기 힘든 국내에 계신 분께 같은 하늘아래 달리 살아가는 세상 얘기도 나눌 겸,개인적으로도 깔끔하게 정리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많은 일들을 재미삼아 공부삼아 정리할 겸 시작하긴 했지만,그래도 부족함때문에 언제나 망설여지곤 합니다. ..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개천절인 오늘, 독일은 통일기념일을 맞았습니다. 독일의 공휴일은 1월 1일 신년, 5월 1일 노동절, 10월 3일 통일 기념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천주교/프로테스탄트 교회력을 따르고 있는데요. 독일 통일을 기리는 중요한 국가 기념일이자,종교색채가 없는 공휴일 중 가장 큰 국가 기념일이지만,우리는 당연히 생각하지만 독일에선 보기 힘든 모습이 하나 있습니다. 통일 기념일 국경일인 오늘, 그 누구도 독일 국기를 집에 게양하지 않습니다. 애국심이 우리보다 덜하다 말할 수 없는 독일인이지만, 베를린의 연방국회와 다른 나라 대사관을 제외하곤 연방총리관저를 비롯한 관공서에서도 국기 게양대를 보기 힘듭니다. 국경일에 태극기를 게양하지 않으면 불경하..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평소 좋아하는 시사인에서 독일의 미세먼지 상황에 대한 글이 적혀 있다고 지인이 알려 주셔서, 찬찬히 읽어 보았는데요. 읽고 나니 어안이 벙벙합니다. 한국의 미세먼지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독일 이야기'에서도 한국과 독일의 초미세먼지 오염도에 대해서도 소개하기도 했었는데요. (한국과 독일의 초미세먼지 오염도 관련 독일 이야기 이전 글: http://dogilstory.tistory.com/169)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주범임에도 석탄화력발전소를 더 증설하려는 정부 계획에 대한 문제를 포함해, 국내의 미세먼지 문제에 관련된 의견도 남기기도 했었는데요. (국내 미세먼지 관련 독일 이야기 이전 글: http://dogil..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한 주 전에 한국에 비해 우박이 잦은 독일 날씨를 소개하며 지름이 5센티미터가 넘는 메가 하겔이라 불리는 큰 우박이 내린 얘기를 전해 드렸는데요. 20센티미터가 넘는 우박도 발견되어 사진이 포함된 독일 신문 링크를 찾아 소개하며, 사진만으로는 독일에서 경험하는 큰 우박이 내릴 때의 현장감이 전해지지 않을 것 같아 시간을 더 내어 참고할 만한 영상을 찾아 함께 소개하기도 했었습니다. (유튜브 영상: https://youtu.be/noV4OqKApr8) 오늘(2016년7월1일) 오마이뉴스에서 운영하는 피클 페이지에서도 '독일 이야기'가 소개했던 영상과 같은 영상을 소개했는데요. 노력해서 발굴한 이야기가 많이 나눠지는 것은 좋은 일이긴 ..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혹여, 언론에서 독일과 유럽과 세상이야기를 엉뚱하게 전하는 일이 있다면, 소소한 세상 이야기를 전하는 중에라도 어떻게 아전인수하고 있는 지를 소상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언론이 못하면 시민이라도 하면 되는 세상이 되었으니 해외 동포분들과 국내에 계신 분들도 더 많이 그리하시면 좋겠습니다. 국민 무서운 줄 아는 세상,퇴행이 멈추는 세상,민주주의가 바로 서는 세상,기본만큼은 상식만큼은 지켜지는 세상,더 나아가 밝은 미래를 함께 꿈꾸고 가꾸는 세상이 되길 염원해 봅니다. 마지막으로, "... 풍자는 민주주의 문화의 기본 요소다... 독일의 민주적인 권리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다른 나라 대통령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 우리는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