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이야기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실패를 통해 실패하지 않는 법을 터득한 스페이스엑스! 불과 한달 전에, 4번의 거듭된 실패 후에 바다 위의 드론 착륙선에 로켓을 회수하는 데 성공한 스페이스엑스 소식을 전해 드렸는데요. 미국 동부 표준시로 금요일 새벽, 일본 상업용 위성인 JCSAT-14를 궤도에 성공적으로 올려놓은 팰콘9 로켓의 1단 추진체를 바다 위의 드론 착륙선에 회수하는 데 또 성공했습니다. 불과 한달 만에! 지난 번과 똑같아 보여도, 1단 추진체의 낙하시점이 지난번보다 훨씬 높고 드론선에 접근할 때의 속도가 훨씬 빨라 스페이스엑스에서도 성공을 낙관하지 못했었는데, 멋지게 성공시켰습니다. 첨부 동영상에서 착륙장면에서 화염에 휩쌓인듯 보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일요일 저녁, 어떤 방송들을 보고 계신지요? 신문으론 실시간으로 전하기는 아예 불가능할테고, 공중파 방송에서도 실시간 방송되지 않겠지만, 그간 구경할 수 없던 멋진 실시간 방송 하나 소개해 드릴께요. 먼저, 우주정거장이 지구를 한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요?90분입니다. 우주정거장에서는 태양이 뜨고 지는 걸 하루에 16번이나 볼 수 있는 것이죠. 속도가 어마무시하죠? 그런 어마무시한 속도로 날아가는 우주정거장에 3.2톤에 달하는 화물을 실은 무인 화물운송선 드래곤CRS-8이 우주정거장 옆에 도착했고, 우주정거장의 로봇팔에 잡혀 우주정거장에 도킹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스페이스엑스 한 회사가 우주정거장에 무인 화물선을 보..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드.디.어. 성공! 성공! 스페이스엑스가 NASA와 체결한, 우주정거장에 화물운송선을 발사하는 사업에 따라 8번째 무인 화물운송선 드래곤CRS-8을 팰콘9 로켓에 실어 성공적으로 발사했고, 발사된 팰콘9 로켓의 1단 추진체를 바다 위의 드론 착륙선에서 회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독일 이야기에서도 4번의 거듭된 실패 소식을 전하면서 "역설적으로, 바다 위의 드론 착륙선에 로켓을 회수할 수 있는 첫번째 회사는 4번이나 실패한 스페이스 엑스가 가장 유력해진 것 같다"고 했었는데요. (독일 이야기 이전 글 : http://dogilstory.tistory.com/335) 방금 전 스페이스엑스의 재도전을 인터넷 실시간 방송을 보면서 감동을 함..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유럽우주기구(ESA)와 러시아가 엑소마스(ExoMars)로 화성 탐사 재도전에 나선 소식을 전한 김에 일본의 우주 기술도 간단히 정리하고 갈께요~ 미국, 러시아, 유럽의 우주 기술이야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로 인식하고 있지만, 이웃 나라인 중국과 일본의 우주 기술에 대해서는 제대로 아는 분들이 드문 게 현실인데요. 우리나라는 아직 로켓추진체 기술이 없는 가운데, 북한도 이제 겨우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 로켓추진체 기술을 가진 것 뿐이지만, 중국은 달에 위성과 탐사선을 보내 연구하고 있다고 소개했었는데요. (독일 이야기 이전 글: http://dogilstory.tistory.com/334) 일본은 자국의 로켓추진체로 자국의 위성..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국에서 먼저 1승을 거두어 충격을 주고 있는데요. 뜬금없이 세상 이야기라며 우주, 신재생에너지,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로봇 등의 기술관련 소식도 한번씩 소개하며,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기술의 발전 속도가 놀랍다며 호들갑을 떨곤 했었는데요. 사실 지금의 기술 발전 속도는 일반인이 상상하는 것보다도 더 빠른 듯 느껴질 정도입니다. 이세돌 9단 같은 수준과는 비교할 수 없는 필부지만, 호기롭게 살다가 쏜살같이 변하는 기술 발전에 먼저 일격을 당해본 1인으로서(~^^) 시대변화에 대해 생각도 나누면서, 미래는 커녕 현재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산업화시대 수준의 사고를 가진 분들이 더이상 우리 사회의 ..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실패할수록 성공에 더 다가가는, 일론머스크 스페이스X의 끝없는 도전 앨런 머스크의 스페이스X. 그 집념의 도전이 계속됩니다. 지난 1월, 스페이스X가 작년12월에 인공위성을 올려놓고 회수한 팰콘9 로켓을 재사용해 다시 인공위성을 올려놓는데 까지는 성공했으나 바다위에 설치된 착륙선 위에 착륙 중에 로켓 지지 다리 하나가 부러지면서 아슬아슬하게 안착에 실패한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해드렸는데요. (독일 이야기 이전 글: http://dogilstory.tistory.com/333) 발사가 하루 연기된 오늘, 바로 10분 뒤, 새로운 팰콘9 로켓으로 통신위성을 쏘아 올린 후 바다 위 착륙선에 안착해 로켓을 다시 회수하는 도전을 진행합니다. ..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북한이 우리보다 먼저 로켓추진체 개발을 포함해 인공위성까지 직접 쏘아 올리고 있는데요. (이번 광명성4호뿐 아니라 2012년 12월 발사한 광명성3호-2기부터). 우리 입장에서는 자존심도 상하고 기술이 대단해 보일 수 있지만, 기술 수준으로만 보면 이미 미국은 우주왕복선을 수십년동안 지겹도록 쏘아올렸고, 지금 지구 위에는 우주정거장까지 건설되어 있고, 미국과 유럽은 화성에 사람을 보낼 계획을 하고 있으니 대단하다고만 보긴 어려운 것 같습니다. 페북을 통하거나 시사에 밝은 분들은 이미 알고 있지만, 의외로 많은 분들이 아직 모르고 있는 사실이, 미국, 러시아, 유럽만 우주 기술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우주 탐사 기술이 뛰어..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한국 시간으로 오늘(2016년 1월 18일 월요일) 새벽, 스페이스X가 작년 12월에 사용하고 회수했던 팰콘9 로켓을 재사용하면서 제이슨3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 것까지는 성공했지만, 바다 위에 설치된 착륙선 위로 착륙하던 중 착륙 다리 하나가 부러져 안착하는 데에는 실패했습니다! 앨런 머스크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거의 완벽하게 착륙하다 넘어져 버리는 착륙 영상 Falcon lands on droneship, but the lockout collet doesn't latch on one the four legs, causing it to tip over post landing. Root cause may have been ice b..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제프 베조스에 이어 엘론 머스크까지... 캬~ 이럴 땐 뭐라 표현해야 하나요. 스페이스X 팰컨 9 로켓 발사와 1단계 추진체의 랜딩존 안착에 드디어 성공했습니다. 로켓 발사 후 1단계 추진 로켓이 2단계 추진 로켓과 분리되고, 2단계 추진 로켓은 저궤도 위성을 위성궤도에 올려놓는 데 성공하고, 1단계 추진 로켓은 발사대 주변에 준비된 지상 랜딩존에 안착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우주여행을 위해서는 비싼 로켓 추진체를 재활용하는 것이 필요한 관건이었는데, 인류가 그간 불가능하다고 보았던 이 난제를 한 명도 아니고 둘이서 각각 보란 듯이 성공시켜 버리네요. 스페이스X 팰컨 9 의 성공적인 발사 장면과 1단계 추진 로켓이 랜딩존에 안착하는 역..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는 3월부터 새학년 새학기가 시작되지만, 독일에선 여름방학이 끝남과 동시에 새학년 새학기가 시작되는데요. 올해도 8월초~9월초 주별로 여름방학이 끝나며 2017/2018년 새학기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http://dogilstory.tistory.com/323) 독일에서 새학년 새학기가 되면 초등학교 1학년 입학식에 참석하는 어린이들 모습에서 한국에서 볼 수 없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독일 초등학교인 그룬트슐레 1학년에 입학하는 아이들은 입학식 전에 부모님이나 할머니,할아버지가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자, 사탕, 쵸콜렛, 장난감, 인형, 선물 등을 담아 준비한 슐튀테를 선물받습니다. 이 슐튀테를 들고 입학식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