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이야기
2015학년도와 2015/2016학년도 독일 초, 중, 고 방학일정과 교육과정 본문
지난 8월 1일에 여름방학이 시작한 바이에른 주는 9월 14일까지 여름방학이 이어지지만, 지난 6월말에 가장 먼저 여름 방학을 시작했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는 이번주 수요일인 8월 12일부터 새학기를 시작합니다.
베를린,브레멘, 함부르크를 포함한 총 16개 주별 2015/2016년 새학기 시작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 베를린 8월31일(월)
-. 브레멘 9월3일(목)
-. 함부르크 8월27일(목)
-. 바덴-뷔르템베르크 (슈투트가르트) 9월14일(월)
-. 바이에른 (뮌헨) 9월 15일(화)
-. 브란덴부르크 (포츠담) 8월 31일(월)
-. 헤센 (비스바덴) 9월 7일(월)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슈베린) 8월 31일(월)
-. 니더작센 (하노버) 9월 3일(목)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뒤셀도르프) 8월 12일(수)
-. 라인란트-팔츠 (마인츠) 9월 7일(월)
-. 자를란트 (자르브뤼켄) 9월 7일(월)
-. 작센 (드레스덴) 8월 24일(월)
-. 작센-안할트 (막데부르크) 8월 27일(목)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킬) 8월 31일(월)
-. 튀링엔 (에어푸르트) 8월 24일(월)
새학기가 시작되고 1년간 주어지는 방학은 각 주의 전통을 기반으로 총 6번의 방학을 정하고 있습니다.
1) 가을방학 (10월,11월 무렵에 1주~2주 가량)
2) 크리스마스방학 (12월말~1월초 무렵에 2주~3주 가량)
3) 겨울방학 (16개 주 중에 5개 주에는 없지만, 나머지 주에선 1월,2월무렵에 1일~2주 가량)
4) 부활절방학 (3월,4월 무렵에 1일~2주 가량)
5) 오순절방학 (16개 주 중에 3개 주에는 없지만 나머지 주에선 5월 무렵에 1일~2주 가량)
6) 여름방학 (7월,8월무렵부터 한달 반 가량)
한국의 초중고생에 해당하는 독일 학생들의 2014/2015학년도의 여름방학 일정과, 2015/2016학년도의 6번의 방학 일정을 주별로 정리해 봤는데요. 참고가 되었음 좋겠네요~^^
-------
(부연 추가)
독일에서는 초등교육과정인 그룬트슐레와 중등교육과정의 김나지움, 게잠트슐레, 레알슐레, 하우프트슐레, 고등교육과정인 대학교 과정이 있는데요.
초등교육과정과 중등교육과정의 학교들은 고등교육과정과 구분해 슐레(Schule)라 부르고, 고등교육과정의 대학생들을 일컫는 슈트덴트(Student)라고 부르는 대학생들과 구분해서 쉴러(Schüler)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공부하다는 뜻도 고등교육과정에서는 슈투디어렌(studieren)으로 부르지만, 초등,중등교육과정에서는 레어넨(lernen)으로 구분하고 부르고 있는데요. 상기 방학 일정은 초등교육과정과 중등교육과정 모두에 함께 적용되고 있습니다.
방학 일정에 대해서는 주정부 교육장관들이 함부르크에서 모여 1964년10월28일 결정했고, 이후 1971년 10월14일에 개정한 함부르크협약(Hamburger Abkommen)에 따라 지켜지고 있는데요.
주마다 방학기간을 달리 정한 이유는 독일인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방학과 휴가기간들을 주마다 분산시켜 함께 몰리는 일없이 서로 불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요.
물론 총 방학일수는 일요일과 휴일을 제외한 75일로 정하고, 여름방학은 7월1일과 9월10일사이에 정한다는 일반적인 내용도 있지만, 여름방학은 최소 6주로 정하되, 학생을 둔 부모가 여름방학동안 학생과 함께 휴가를 가질 수 있도록, 부모가 다니는 직장으로부터 최소 3주 이상의 휴가가 인정된다는 설명까지 덧붙여져 있습니다.
주정부의 교육 책임자들이 함께 모여 나라 전체의 방학과 관련된 규정을 만들면서, 학생들이 부모와 3주 이상의 여름 휴가를 함께 보내도록 고려할 정도로 독일인들에겐 방학과 휴가, 즉 삶의 휴식 시간이 소중한 덕목인 것 같습니다.
[독일이야기][2015년8월9일] https://www.facebook.com/dogilstory/posts/1660322097516079
*. 2015년도 독일 초,중,고등 학교 방학 일정
독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포함한 기간의 방학을 겨울방학이라 부르지 않고 크리스마스방학이라는 바이나흐츠페리엔이라 부릅니다. 독일 초중고생들은 16개 주 중에 11개 주에서 12월에 비해 좀 더 추워지는 1월말과 2월 중에 짧게는 하루, 길게는 2주간의 별도의 방학을 갖는데, 그 때 방학을 겨울방학이라는 빈터페리엔이라고 부릅니다.
독일의 교육정책은 연방정부가 아닌 주정부의 소관입니다. 주정부의 교육부장관들이 서로 의견을 조율해 전체적인 그림을 맞춰가지만 주별로 완전히 독립된 권한을 행사합니다. 방학을 포함한 학사일정이 주별로 다른 이유이기도 합니다.
독일의 새학기는 한국처럼 3월이 아닌 8,9월에 시작해 7월무렵에 마무리됩니다. 그리고 새학기가 시작되고 부터 1년동안 총 6번의 방학을 갖게됩니다.
1) 가을방학 (10월,11월 무렵에 1주~2주 가량)
2) 크리스마스방학 (12월,1월 무렵에 2주~3주 가량)
3) 겨울방학 (16개 주 중에 5개 주에는 없지만, 나머지 주에선 1월,2월무렵에 1일~2주 가량)
4) 부활절방학 (3월,4월 무렵에 1일~2주 가량)
5) 오순절방학 (16개 주 중에 3개 주에는 없지만 나머지 주에선 5월 무렵에 1일~2주 가량)
6) 여름방학 (7월,8월무렵부터 한달 반 가량)
학생들에게는 한국처럼 여름방학, 겨울방학, 봄방학이 몰려있는게 좋을까요? 독일처럼 중간 중간 여러번 나눠져 있는 게 좋을까요?
2015년 새해의 독일 초중고 학생들의 방학일정을 소개합니다.
[독일이야기][2014년12월27일] https://www.facebook.com/dogilstory/posts/1574930459388577
>> 독일이야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2sHxbgp
윗쪽 아이콘 클릭 후 소셜미디어별 구독/팔로잉과
아래쪽 하트 버튼도 많이 클릭해 주세요.
'독일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총리와 독일 청소년보다 못한 한국 대통령 담화 및 기자회견. 그리고 독일 청소년보다 못한 청와대 출입 기자들 (0) | 2017.07.21 |
---|---|
다니엘 린데만이 소개하는 독일 공교육과 독일 유학 (0) | 2017.07.21 |
독일 초중고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과 숙제 시간 (0) | 2017.07.04 |
주당 의무 수업시간 연장에 항의한 선생님들의 수학여행 보이콧에 항의하는 니더젝센주 김나지움 학생들 데모 (2015년1월) (0) | 2017.06.29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2015학년도 아비투어 시험 일자 (0) | 2017.06.29 |